본문 바로가기

CS 전공 지식/네트워크10

10. 전송 프로토콜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전송 프로토콜과 UDP 프로세스 간의 통신 데이터 링크 계층은 이웃한 두 노드 사이의 프레임 전달에 관여 IP와 같은 네트워크 계층은 두 호스트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 수송 계층 프로토콜은 프로세스 프로세스 사이의 메시지전달에 관여 프로세스 to 프로세스 전달 포트 번호가 프로세스 간의 전달에 사용 프로세스 간의 통신 클라이언트 / 서버 구성 프로세스간의 통신은 클라/서버 구성을 통해서 이루어짐 포트 번호는 “수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논리적인) 주소”로서 특정 호스트에서 실행 되는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포트 번호를 갖게 되는데 OS에 의해 선택된다. 이러한 포트는 일시적으로 할당되고 사.. 2022. 5. 24.
09. (링크 상태, 경로 벡터) 라우팅과 멀티 캐스팅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링크 상태 라우팅과 경로 벡터 라우팅 링크 상태 라우팅 (Link State Routing) 모든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도를 만들어서 경로를 구함 각 노드는 다른 모든 노드로부터 최단 경로를 구함 각 노드는 Dijkstra’s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구축 네트워크에 변화가 생기면 각 노드는 네트워크 구성도를 갱신 OSPF (Open Shortext Path First) 라우팅 프로토콜 : 링크 상태 라우팅 방법을 사용 링크 상태 라우팅 전체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각 노드의 부분 정보를 모아서 구할 수 있음 알고리즘 동작 각 라우터는 인터넷의 전체 그림을 그려야 함 : 트래픽이 순간적으로.. 2022. 5. 24.
08. 패킷 전달과 거리 벡터 라우팅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패킷의 전달 패킷의 처리 인터넷은 여러 네트웤의 연결로 구성 송신지에서 목적지까지 경로가 여럿 존재 네트워크 계층은 여러 네트워크를 통한 패킷 전달 문제를 해결 송신자 송신자의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을 생성 패킷이 크면 단편화 목적지에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 수신자 IP 패킷의 헤더들을 검사 (주소를 확인하여 자신에게 온 패킷인지 검사) 단편화된 패킷이면, 패킷 조립 중간 장치 (스위치, 라우터 등) 중간 장치들은 패킷을 라우팅함 패킷이 도착하면 라우팅 테이블을 검사하고, 보내야 하는 인터페이스 (포트)를 확인 패킷의 전달 원칙 직접 전달과 간접 전달 직접 전달 : 패킷의 최종목적지가 전달.. 2022. 5. 24.
07. IP 주소 자동 할당, 변환과 주소 매핑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DHCP와 NAT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의 필요성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것 DHCP는 정적 및 동적 할당을 제공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의 필요성 공인 IP주소의 부족 → 외부 IP - 내부 IP (비 공인 주소) 각각 만들어 줌 3개의 비공인 주소세트를 정해둠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NAT : 외부 IP ↔ 내부 IP 변환하는 기술 라우터에 NAT 기능을 가진다. (라우터가 외.. 2022. 5. 24.
06. IP 주소의 응용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IP주소와 서브넷 IP주소 네트워크 주소에서 송신자 수신자를 구별할 수 있음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전화 네트웤) 이면 전화번호 IP주소는 연결주소, DDN(Dotted Dicimal Notation)으로 표기 한다. 클래스 구분 주소 (Classful Addressing) (이전 방식) Netid, Hostid 0.0.0.0 과 255.255.255.255 은 사용 못함. 서브넷 주소설정 (Subnetting) 기관 내부는 사실 여러 개의 서브 네트워크로 구성 따라서 서브 네트워크를 구분할 방법이 필요해짐 Hostid의 일부를 사용하여 서브넷 식별자를 할당 ex) 1.. 2022. 5. 24.
05. 이동통신과 인터넷 프로토콜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이동전화와 위성 네트워크 이동전화 기지국, MSC 각 이동전화 서비스 영역은 cell이라 불리는 작은 영역으로 나뉨 각 셀은 기지국(Base Station)으로 제어 각 기지국은 MSC에서 제어 유선으로 쭉 가서 해당 영역의 기지국에서 무선으로 연결 Handoff 이동 전화가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 이동 시 신호가 셀에서 약해짐 → MSC는 통신하기에 적절한 다른 셀을 탐색 무작위 접근 (Random access) Hard hadnoff 연결 끊고, 다른 기지국 연결 시도 (다음 기지국이 Busy면 끊겨 버릴 수 있다. Soft handoff 둘 다 연결해서 환승 ㅋㅋ 이동전화 발전과정 First Generatio.. 2022. 5. 24.
04. 무선 LAN과 네트워크 연결 장치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1. 무선 LAN 무선 LAN 구조 무선 LAN은 BSS와 ESS 두 종류의 서비스 지원 BSS (Basic Service Set) : AP 유무에 따른 서비스 분류 AP (Access Point) : 유무선공유기 Infrastructure 모드 : AP 사용해서 연결 Ad Hoc 모드 : AP 없이 연결하는 모드 ESS (Extended Service Set) ESS : AP를 갖는 여러 BSS로 구성된 서비스 - P 와 AP 를 연결해주는 Distribution System이 있는 형태MAC 부계층 MAC 계층을 DCF, PCF로 나눌수있다. PCF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는 선택.. 2022. 5. 20.
03. LAN 매체와 유선 LAN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03. 1. LAN 에서 사용하는 매체 전송 매체의 종류 전송 매체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물질을 의미 유도 매체 (Guided : 유선), 비유도 매체 (Unguided : 무선) 꼬임선(Twisted-pair cable),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광케이블(Fiber-optic cable) 유도 매체(Guided Media) Twisted-Pair Cable) 두 선이 꼬여져 있다. UTP : Unshielded TPC STP : Shielded UTP 카테고리 (CAT 1, CAT2 ~ CAT7) : 카테고리 높을 수록 고품질 CAT5 많이 쓰는 중 (100Mbps) TP 커넥터 : RJ45 커넥터 많이 사.. 2022. 5. 19.
02. 스위칭과 다중접속 프로토콜 모든 레퍼런스는 K-MOOC : 네트워크 기초 (성균관대 안성진 교수님) 입니다. 02. 스위칭과 다중접속 프로토콜 02. 1. 스위칭 방법과 종류 스위칭의 필요성 여러 개의 장치가 있는 경우,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하기 위해 선으로 연결 모든 장치에 서로 링크로 연결되면 문제점이 발생링크의 대다수는 유휴시간이 많아 효율이 저하 장치가 많아질수록 비용이 많이 발생 여러 장치들을 스위치에 연결되도록 구성 스위치는 필요할 때마다 두 개의 장치를 연결 스위치들이 연결되어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음 스위칭 방식의 종류 스위칭 방식 회선교환 메시지 교환 방식 패킷교환 ( 1. 데이터그램, 2. 가상회선)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전화망 (PSTN)이 이 방식을 사용 PSTN : .. 2022. 5. 17.
01. 네트워크의 개념 강의 내용을 간략하게 기록합니다. "CS 공부를 했다" 는 흔적 남기는 용도, "들어본것 같은데 뭐였지?" 할 때 확인용입니다. 네트워크 기초 강의 URL : 네트워크 기초 01. 1. 네트워크 개요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노드 : PC, 서버, 라우터, 스위치 링크 : 노드를 연결해주는 것 (유선, 무선) 좋은 네트워크의 조건 성능지연시간 (Delay) : 경유시간, 응답시간, 왕복시간 처리량 (Throughput) :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의 양 신뢰성 (Reliability) 장애빈도, 장애 발생 후 회복시간, 재난에 대한 견고성 등 보안성 (Security) 링크의 연결 형태 일대일 연결 (Point-to-point) 멀티 포인트 연결 (Mulipoint, Multidrop) 네트워.. 2022. 5. 15.